<구글애드센스 자동광고>

[헷갈리는 맞춤법] 낫다 vs 낳다

헷갈리는 맞춤법|2021. 1. 10. 16:59
반응형

낫다 vs 낳다

너 저번에 다친 상처 낫어? 낳았어?

헷갈리는 '낫다'와 '낳다'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린표현일까요?

이제부터 '낫다'와 '낳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낫다

 

질이나 정도에서 더 좋거나 앞서 있다

 

그 옷 보다는 이 옷이 더 나아 보여 ( O )

그 옷 보다는 이 옷이 더 낳아 보여 ( X )

 

(병이나 상처 따위가) 치유되어 없어지다

 

몸조리를 잘 해서 감기가 빨리 나았다. ( O )

몸조리를 잘 해서 감기가 빨리 낳았다. ( X )

 

(기분 따위가) 풀어지거나 가벼워지다

 

당신이 위로를 해주니까 기분이 한결 낫다. ( O )

당신이 위로를 해주니까 기분이 한결 낳다. ( X )

 

 

 

낳다 

 

(사람이나 동물이 새끼를 ) 몸 밖으로 내놓다

 

이휘재씨는 쌍둥이를 낳았다며? 송일국씨는 세쌍둥이를 낳았다고 하던데 ( O )

이휘재씨는 쌍둥이를 나았다며? 송일국씨는 세쌍둥이를 나았다고 하던데 ( X )

 

(무엇이 어떤 결과를) 이루거나 가져오다

 

토레스의 무릎을 그렇게 무리하게 치료했다가는 심각한 후유증을 낳을 수 있습니다. ( O )

토레스의 무릎을 그렇게 무리하게 치료했다가는 심각한 후유증을 나을 수 있습니다. ( X )

 

(국가가 어떤 인물을) 세상에 배출하다

 

그는 한국이 낳은 천재입니다. ( O )

그는 한국이 나은 천재입니다. ( X )

 

 

 

여기까지 '낫다'와 '낳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많이 틀리고 잘 틀리기 쉬운 혼동되고 헷갈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능, 공무원, 9급, 7급, 행정고시, 상식, 한국어, 국어, 언어, 말, 표준어, 맞춤법, 문법 차이 등의 시험 및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헷갈리는 맞춤법] 무난 vs 문안

헷갈리는 맞춤법|2021. 1. 10. 16:37
반응형

무난 vs 문안

너 오늘 옷 입은게 무난? 문안? 하네.

헷갈리는 '무난' '문안'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린표현일까요?

이제부터 '무난' '문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무난

'무난'은 '무난하다'의 어근입니다.

 

(일이) 별로 어려움이 없다.

 

그 시험은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습니다. ( O )

그 시험은 문안하게 합격할 수 있습니다. ( X )

 

(무엇이) 이렇다 할 단점이나 흠잡을 만한 것이 없다.

 

이 제품은 상태가 무난합니다. ( O )

이 제품은 상태가 문안합니다. ( X )

 

(성향이나 성격이) 까다롭지 않고 무던하다.

 

그는 성격이 무난해 보인다. ( O )

그는 성격이 문안해 보인다. ( X )

 

 

 

문안

웃어른에게 안부를 여쭘 또는 그런 인사

 

할머니께 문안 인사를 드렸다. ( O )

할머니께 무난 인사를 드렸다. ( X )

 

문안 편지 ( O )

무난 편지 ( X )

 

예전에, 궁중에서 병환1(病患)’을 이르던 말

문안() 계시다

궁중에서, 왕후왕자 등이 병이 들어 몸이 편찮음을 이르던 말.



 

여기까지 '무난'과 '문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많이 틀리고 잘 틀리기 쉬운 혼동되고 헷갈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능, 공무원, 9급, 7급, 행정고시, 상식, 한국어, 국어, 언어, 말, 표준어, 맞춤법, 문법 차이 등의 시험 및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헷갈리는 맞춤법] 바뀌었다 vs 바꼈다

헷갈리는 맞춤법|2021. 1. 10. 15:59
반응형

바뀌었다 vs 바꼈다

비행기에 내려서 짐을 챙기는데 다른 사람과 짐이 바뀌었다? 바꼈다?

헷갈리는 '바뀌었다' '바꼈다'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린표현일까요?

이제부터 '바뀌었다' '바꼈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뀌었다 ( O )

바꼈다 ( X )

 

바뀌었다는 바뀌다의 과거형입니다.

바뀌었다가 맞습니다.

우리말은 'ㅟ' + 'ㅓ' 발음을 줄여 쓰는 말이 없습니다.

비슷한 경우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사귀었다 ( O ) 사겼다 ( X )

할퀴었다 ( O ) 할켰다 ( X )

 

바뀌었다 사귀었다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발음 형태이기 때문에 바른 말이라도 어색하게 들립니다. 실제로 바꼈다 사겼다라고 발음하면 어색하지 않지만 글로 써 놓으면 어색합니다. 이것은 아마도 가지었다를 가졌다로 느끼었다를 느꼈다로 줄여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여기까지 '바뀌었다'와 '바꼈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많이 틀리고 잘 틀리기 쉬운 혼동되고 헷갈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능, 공무원, 9급, 7급, 행정고시, 상식, 한국어, 국어, 언어, 말, 표준어, 맞춤법, 문법 차이 등의 시험 및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헷갈리는 맞춤법] 헷갈리다 vs 햇갈리다 vs 헤깔리다 vs 해깔리다 vs 헛갈리다

헷갈리는 맞춤법|2021. 1. 10. 15:43
반응형

헷갈리다 vs 햇갈리다 vs 헤깔리다 vs 해깔리다 vs 헷깔리다 vs 햇깔리다 vs 헛갈리다

이 말 너무 헷갈린다? 햇갈린다? 헤깔린다? 해깔린다? 헷깔린다? 햇깔린다? 헛깔린다?

헷갈리는 '헷갈리다'와 ' 햇갈리다'와 '헤깔리다'와 '해깔리다'와 '헷깔리다'와 '햇깔리다'와 '헛갈리다'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린표현일까요?

이제부터 '헷갈리다'와 ' 햇갈리다'와 '헤깔리다'와 '해깔리다'와 '헷깔리다'와 '햇깔리다'와 '헛갈리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헷갈리다 vs 햇갈리다 vs 헤깔리다 vs 해깔리다

헷갈리다 ( O )

햇갈리다 ( X )

헤깔리다 ( X )

해깔리다 ( X )

헷깔리다 ( X )

햇깔리다 ( X )

 

결론을 말씀드리면 헷갈리다가 맞습니다.

헷갈리다는 정신이 혼란스럽게 되거나 여러 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할 때 쓰는 말입니다.

 

 

 

헷갈리다 vs 헛갈리다

 

헷갈리다 ( O )

헛갈리다 ( O )

 

헷갈리다와 헛갈리다는 둘 다 맞습니다.

예전에는 헛갈리다가 표준어였고 헷갈리다는 비표준어였다고 합니다.

헷갈리다를 많이 쓰면서 바뀌어서 지금은 둘 다 맞습니다.

 

 

 

여기까지 '헷갈리다'와 '헛갈리다'의 맞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많이 틀리고 잘 틀리기 쉬운 혼동되고 헷갈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능, 공무원, 9급, 7급, 행정고시, 상식, 한국어, 국어, 언어, 말, 표준어, 맞춤법, 문법 차이 등의 시험 및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헷갈리는 맞춤법] 그런데도 vs 그런대도

헷갈리는 맞춤법|2021. 1. 10. 15:05
반응형

그런데도 vs 그런대도

시험을 보기전 큰일은 보고왔다. 그런데도? 그런대도? 배가 또 아프다.

헷갈리는 그런데도 그런대도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린표현일까요?

이제부터 그런데도 그런대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런데도

접속 부사 ‘그런데’에 보조사 ‘도’가 결합한 말. ‘앞 문장의 상황과 같음에도 불구하고’의 뜻을 나타냅니다.

‘그러다’의 어간 ’그러-‘ 뒤에 어미 ’-ㄴ데’, 보조사 ‘도’가 붙은 것입니다.

 

미리 준비를 했다. 그런데도 불안했다.

 

한 달만 있으면 계약이 끝납니다. 그런데도 해약하시겠어요?

 

많은 시도를 해봤다. 그런데도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그런데도 색안경을 쓰고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

 

 

 

그런대도

‘그런다고 해도’의 준말.

 

그런다고 해도그리하다의 준말입니다. 

그러다앞 절의 일을 뒤 절 일의 까닭이나 근거로 듦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ㄴ다고

결합하여 그런다고로 활용한 형태입니다.

‘-ㄴ다고 해 "걔는 몸이 아파서 못 온대"와 같이 ’-로 줄여 표현할 수 있으므로

그런다고 해도 그런대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는 몸이 아파서 못 온다고 해  그는 몸이 아파서 못 온대

그런다고 해도 → 그런대도

 

 

 

여기까지 '그런데도'와 '그런대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많이 틀리고 잘 틀리기 쉬운 혼동되고 헷갈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능, 공무원, 9급, 7급, 행정고시, 상식, 한국어, 국어, 언어, 말, 표준어, 맞춤법, 문법 차이 등의 시험 및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